반응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아이그림 해석 하는방법
- 심리미술
- 미술치료 기법
- 그림으로 보는 아동심리
- 미술치료
- 심리그림
- 나무그림해석
- 나무그리기로 알아보는 아이들의마음
- 자신감 높은 나무
- 인물화로 보는 심리미술
- 아동심리
- 미술치료 활동
- 해석방법
- 아동심리미술
- 미술로 보는 속마음
- 미술심리
- 미술심리치료
- 자신감 낮은 나무
- 마음의소리
- 나무뿌리그리기로 알아보는
- 아동심리미술이란
- 나무 그리기로 보는 해석 방법
- 아동미술치료
- 그림해석하는방법
- 검사시의 태도와 소요 시간
- 미술로보는 아이들의 마음
- 주요 목적
- 나무 그리기 수업의 목표
- 아동 미술 발달 단계
- 아동심리미술 기초
Archives
- Today
- Total
마음의소리
[아동심리미술과 미술치료 기법] 나무 그리기로 보는 해석 방법과 검사시의 태도와 소요 시간으로 해석하는 방법! 본문
아동심리와 미술치료
[아동심리미술과 미술치료 기법] 나무 그리기로 보는 해석 방법과 검사시의 태도와 소요 시간으로 해석하는 방법!
동글동글 달그대 2025. 3. 26. 22:56반응형
검사시의 태도와 소요 시간
심리미술의 정상적이 소요시간은 대부분은 10~12분 혹은 더 적게 소요되는것이 바람직합니다.
Q1. 그림을 그리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2분이하로 짧거나 30분이상으로 길거나 지시후 30초 이상이 지났는데도 그림그리 기를 시작하지 못하는경에 내담자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걸까요?
.
A1. 그 그림이 피검자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으며, 그 그림을 그리는데 어떤 갈등 가지고 있는경우가 많습니다
Q2. 어떤 한가지 그림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면?
.
A2. 피검자는 완벽을 기하는 성향이나 강박증적 성향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Q3. 그림을 그리면서 많은 질문을 하는 사람이라면?
.
A3. 보다 구조화된 검사를 하도록 검사자에게 강요하는 완벽주의 성향을 가지고있을 수 있습니다
Q4. 그림을 그리는데 대한 반항을 한다면?
.
A4. 수줍은 불안 회피 우울 완고함...요즘은 미술치료가 많이 대중화 되어 있어서 스스로를 노출 하는것이 부담스러워서 자기 방어를 하는경우들이 많이 있습니다
Q5. 자아비판을 하는경우(나는 그림을 그리지 못하다/...이것은 너무 어렵다 등등...)?
.
A5. 낮은 자존감과 상당한 우울증 검사자의 비난을 피하기 위한 바람 권위적인 인물로 부터 확신을 얻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습니다
"나무뿌리 그리기"를 활용한 미술치료
목적
•내면의 뿌리를 시각화함으로써 자아 정체성과 심리적 안정감을 탐색
•가족관계, 성장 환경, 가치관의 형성 배경 등을 반영해보기
활동 주제
•"당신이라는 나무의 뿌리는 어떤 모습인가요?“
진행 과정의 질문 예시
- “당신의 삶에서 중요한 영향을 준 사람은 누구인가요?”
- “당신이 지금까지 살아오며 뿌리처럼 느껴졌던 경험이나 가치관은 무엇인가요?”
- “당신의 정서적 에너지나 자원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나요?”
- 그림 그리기
- 참가자에게 A4 또는 A3 용지를 주고, 나무의 뿌리 부분을 자유롭게 그리도록 안내함
- 뿌리를 길게, 짧게, 엉켜 있게, 깊이 있게, 단단하게, 혹은 사라지게 표현해도 좋음
- 뿌리마다 이름, 사건, 감정을 적어도 되고 색상으로 감정을 표현해도 됨
- 그림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 “이 뿌리는 어떤 의미인가요?”
- “가장 두꺼운 뿌리는 당신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 “빠져 있거나 끊긴 뿌리는 어떤 상황을 반영하나요?”
미술치료에서 자주 사용하는 나무 그림 예시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아래 예시의 그림은 그림은 뿌리, 줄기, 가지, 잎이 균형 있게 표현된 형태로,
아이나 성인이 미술치료 시간에 그릴 법한 스타일입니다
•이 나무 그림은 자신감과 자아 강도(ego strength)가 높은 사람이 그렸을 법한 스타일이긴한데요
나무 중간에 저 옹이는 무슨 듯일가요?
나무 중간에 저 옹이는 무슨 듯일가요?
그림을 그릴때 옹이를 그렸다는것은 나무를 자아라고 한다면 내담자의 예를들어 나이가 10상이라면 나무 중간쯤에 표현한 옹이는 5세쯤의 상처가 있었음을 의미합니다
특징적으로 해석해보면
- •두껍고 곧게 뻗은 줄기 → 내면이 단단하고 흔들림 없는 자아를 나타냅니다
- •넓게 퍼진 균형 있는 가지 → 외부 세계에 대한 개방성, 사회성 양호한편입니다.
- •풍성한 잎과 뚜렷한 뿌리 → 에너지 넘치고 과거에 대한 건강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편입니다
- •자신감 있는 선의 흐름 → 주저함 없이 자기 표현 가능, 내면의 안정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뿌리와 지면 → 탄탄한것도 안정감을 느끼고 있는경우다 많이 있습니다.

몇번 말씀 드렸지만 그림을 그리는 순서나 반복해서 그리는정도 크기 위치...
필압과 지우개를 사용하는 정도 ..대칭성과 방향성 그림자의 음영 등 여러가지를 지켜 봐야합니다/
한번 그리는것을 보고 진단과 평가를 한다는것은 상당히 위험한 행동입니다.
그날그날의 기분에 따라 그림 그리는것에 달라 질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공감을 해주고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그림그리는데 내담자가 자기 방어를 하지 않도록 하는것이
중요 합니다
반응형
'아동심리와 미술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 그리기와 나무 뿌리그리기를 활용한 미술치료! (1) (0) | 2025.04.04 |
---|---|
[아동심리미술과 미술치료 기법]나무 그리기 수업의 목표 알아보기 (0) | 2025.04.03 |
[아동심리미술과 미술치료 기법] 나무 그리기로 보는 해석 방법 (6) | 2025.03.25 |
[아동심리 미술과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정의와 기본 원리 (4) | 2025.03.24 |
[아동심리미술과 미술치료] 사람그림으로 알아보는 심리미술! (0) | 2023.02.1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