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그림해석하는방법
- 미술심리치료
- 자신감 높은 나무
- 자신감 낮은 나무
- 아이그림 해석 하는방법
- 미술심리
- 미술치료 활동
- 나무 그리기로 보는 해석 방법
- 검사시의 태도와 소요 시간
- 아동 미술 발달 단계
- 아동심리미술이란
- 아동심리미술
- 주요 목적
- 미술치료
- 심리그림
- 그림으로 보는 아동심리
- 미술치료 기법
- 심리미술
- 해석방법
- 아동심리미술 기초
- 나무그림해석
- 아동미술치료
- 미술로보는 아이들의 마음
- 마음의소리
- 미술로 보는 속마음
- 나무 그리기 수업의 목표
- 아동심리
- 나무뿌리그리기로 알아보는
- 인물화로 보는 심리미술
- 나무그리기로 알아보는 아이들의마음
Archives
- Today
- Total
마음의소리
[아동심리미술과 미술치료] 사람그림으로 알아보는 심리미술! 본문
반응형
인물화로 보는 심리~!
- 얼굴의 윤곽선만 진하고 내부의 이목구비는 연하게 그려진 그림 : 정면이면 사회 활동에 참가하려는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실제로는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소심한 성격의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그림입니다. 측면을 그렸을 경우는 폐쇄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고 자기애가 강한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 납니다.
- 그림의 전체가 강한 선으로 그려진 경우 : 그림을 그린 사람의 극도의 긴장상태의 반영이나 독단적이거나 힘이 있는 양가적 감정들이나 공격적이며 공격 가능성의 경향을 보여 줍니다.

- 그림의 어떤 부분이 진하게 그려진 경우 : 그부분에 대한 고착이나 그것이 상징하고 있는것이 무엇인지 알아 볼 필요가 있습니다. 진하게 그려진 부분에 본인 대한 억압이나 적의를 나타냅니다.
- 인물화의 윤곽선만 진하게 그린경우 : 대인공포증과 자기 폐쇄적인 만성정신분열증이나 알코올 중독자들에게서 많이 나오는 그림입니다. 계속 말씀드립니다만, 한번의 그림만으로 판단하고 진단을 내리는것은 절대 금물입니다. 여기서도 윤곽선을 그리더라고 윤곽선만 심하게 그려진 경우를 얘기 하는 것이며,꼭 확인해야 하는 것은 그부분에 대한 얘기를 나누어 보아야 합니다.
- 그림의 윤곽선은 진하지만 그림안의 선들이 윤곽선 만큼 진하지 않은 경우 : 성격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함을 나타 냅니다.
- 윤곽선만 진하게 옆얼굴을 그리는 것, 안정되고 단호한 선을 그리는것: 폐쇄적 사고를 가지고 있으며 자기애가 강한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 납니다.
- 안정,주장,야심있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그림입니다.

집을 그릴때 ~!
- 집의 벽이나 나무줄기의 윤곽선을 진하게 그리는것 : 현실의 접촉을 유지하고 공상에서 만족을 구하려고 하는 경향을 억압하려고 하는 상태 입니다.
- 진동하는 방향,희미한 선들과 중단된 스트로크 : 불안, 우유부단한 경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 극단적으로 약한선:자신감이 없는 폐쇄적인 사고의 경향이 있습니다.
- 매우 짧으며 곡선으로 된 운필 : 불안,불확실성,우울, 단순한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 짧고 연속되지 않는 운필 : 충동적이고 흥분하기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
- 그림이나 음영이 있는 선 : 신경증과 갈등,특히 그림자가 진한 것은 특별한 곤란과 불안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림을 그릴때 지우거나 수정한 부분을 보고 해석 하는 방법~!
- 수정한 부분 : 관심이나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대상을 나타냅니다.
- 수정한 그림이 원래 그림보다 더 이상할 때 : 불안에 시달리는 사람들, 이상이 있는 사람들,기질적인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 납니다.
- 몇번이고 계속 고쳐 그리거나 그리다가 그만두는 것: 그 영역이나 그 영역이 상징하는 것에 대한 갈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지우개를 적당히 사용하는경우 :가소성과 순응성
- 반대로 지우개를 지나치게 사용하는 사람 :불안감을 가지고 있으며 ,우유 부단하고,불확실성...자신에 대한 불안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그림이 불안정함에도 불구하고 다시 고쳐 그리지 않는경우 : 약간의 병적인 거부 반응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있습니다.
- 인물을 그렸다가 전체를 지우고 다시 그리는 경우 : 이 사람(자기 자신을 그렸다면 자기자신)에 대한 개인의 신뢰감이나 이상화된 감정을 나타 냅니다.

그림의 대칭성과 방향~!
- 대칭성의 강조 : 강박적 경향과 우울함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많이 나타납니다.
- 경직된 대칭성 :우울한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 납니다.
- 얼굴에 있어 측면의 혼동 : 정서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많이 보여지는 그림입니다.
- 모든그림이 완전히 정면을 보고 있는 그림 : 경직적이 여서 타협이 되지 않는 성질을 나타냅니다.
- 왼쪽을 바라보는 측면상, 경직된 측면상 : 퇴행,철회...
- 측면으로 서 있거나 등을 보이는 인물 : 도피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자폐적이고 자기 고집대로 외계와 접촉하는 사람에게서 나타납니다.
- 측면의 얼굴 (보기 싫은 대상을 측면으로 많이 그립니다.) : 비교적 더 소박하고 진실된 앞 얼굴보다 더 신중하고 복잡하게 그립니다.
- 인물화를 그리는데 있어서 자로 잰 것처럼 대칭적인 그림 : 신체의 부조화를 두려워 하고,죄책감에 괴로워 하고 충동을 통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그림입니다.

반응형
'아동심리와 미술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심리미술과 미술치료 기법] 나무 그리기로 보는 해석 방법 (6) | 2025.03.25 |
---|---|
[아동심리 미술과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정의와 기본 원리 (4) | 2025.03.24 |
[아동 심리미술과 미술치료] 미술로 알아보는 아이들의 심리 (1) | 2023.02.12 |
[아동심리 미술/미술치료 활동]아이들의 그림 해석 하는방법~!? (0) | 2023.02.07 |
[아동심리 미술/미술치료 활동]물고기 가족화 그림 해석하는 방법~!? (0) | 2022.03.0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