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소리

[아동심리 미술/미술치료 활동]아이들의 그림 해석 하는방법~!? 본문

아동심리와 미술치료

[아동심리 미술/미술치료 활동]아이들의 그림 해석 하는방법~!?

동글동글 달그대 2023. 2. 7. 22:13
반응형
심리미술 검사시 태도와 소요시간

미술치료 활동의 태도와 소요 시간

모든 심리미술은 아동 또는 성인 즉,내담자의 그날그날 기분에 따라 그림을 달리 그릴 수도 있기 때문에 한번의 그림만으로 판단을하고 진단을 내려서는 절대로 안됩니다.
여러회 거듭하고 아이와 함께 계속 이야기를 해보면서 왜 이런 그림을 그렸는지 이야기 해보고 급하지 않게 마음 먹고 서서히 알아 보는것이 또한 중요 합니다.

출처: 클립아트 코리아

그리고 모든 심리 미술 (아동 심리 미술이나, 성인 심리미술)에 있어서 그림을 그리는 태도와 소요 시간도 매우 중요한 내담자의 상태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 입니다.

그림을 그리는데 시간이 2분 이하로 짧거나 30분 이상 걸리거나 보통의 아이들과 달리, 그림을 그려 보도록 지시한 후에도 선듯 시작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다가 한참뒤에 시작을 한다거나, 30초가 훌쩍 지났는데도 시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그런 아이들은 그 그림이 본인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으며, 그 그림을 그리는데 어떠한 갈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어떤 특정한 그림에 오랜 시간을 소요 하는경우는 검사를 받는 사람이 완벽을 추구 하는 성격이거나 강박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그림을 그리면서 질문을 많이하는 경우는 구조화된 검사를 하도록 강요하는 강박증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출처:클립아트 코리아

어떤 아이들을 그림을 그리는데 있어서 반항을 하거나 자기 방어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흔하게 접할 수 있어 우리 아이들이 자기 방어를 하면서 그림을 그리지 않거나 생각과 다른 그림을 그린는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특히 미술치료 수업을 하다보면, 초등 고학년이나 중고등 학생들은 자기 방어를 하는 경우를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부끄러움이 많거나 불안,회피, 우울, 완고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나는 그림을 그리지 못한다.", "너무 어려워서 못하겠다."
등등...자아 비판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낮은 자존감과 상당한 우울증을 가지고 있거나, 검사자의 비난을 피하기를 바라거나, 스스로 생각하는 권위적인 인물로 부터 확신을 얻기를 바라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보통 그림을 그리는데 소요 시간은 복잡한 그림을 요구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부분 10~12분 전도 소요 됩니다

출처: 클립아트 코리아
내담자(여기서는 어린이가 그림을 그리는 순서

먼저 상담자는 내담자들이 그림을 그리는 순서를 잘 관리 해야 합니다. 상담자가 신경을 안쓰는척 하면서 계속 확인 작업을 해야 합니다.
사람을 그리는데 심리상태가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대부분 머리와 얼굴에서 시작하고, 주로 동성을 먼저 그립니다.
또 동성을 그릴 때 소요 되는 시간이 더 걸리는것이 대부분 입니다.

얼굴의 내부를 먼저 그리고 윤곽을 나중에 그리거나 인물의 얼굴을 제일 나중에 그리는 사람은 대인관계의 문제 타인과의 정서적인 접촉을 즐거워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여기저기 뒤죽박죽 중구난방으로 혼란된 순서로 사람을 그리는 경우는 심한경우에는 충동적인 조증으로 과도한 활동을하는 ,혼란된 정신분열증일 수도 있습니다.

출처: 클립아트 코리아


인물을 그릴때 동체부터 그리는 사람은 자기 개념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사람이 많습니다.
어떤사람은 제일먼저 의복을 먼저 그리려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런 사람들은 인간관계에 문제가 있고, 따뜻함을 가지고 애정 관계를 맺지 못하는 냉정한 사람인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또 어떤 아이들은 다리 먼저 그려 나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아이들은 성에 대한 관심이나 갈등, 심한 경우에는 성도착증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인물화를 그릴때 이성을 먼저 그리는 사람은 이성에 대한 관심이 강한 사람으로 의미 있는 사람이 이성 이며 그사람과 심리적으로 밀착된경우,성의 동일시에 혼란이 있고 자신의 성적 역할을 심리 적으로 받아 들이지 못하거나 동성애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여자가 남자보다 이성상을 먼저 그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위에서 처음에 이야기 한것 처럼 그림을 그릴 때 그림을 그리는 순서와 그림을 그리는 방법...시간, 그리고 아이들이 그림을 그리면서 얘기하는 내용, 그날 그날의 기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음으로 한번의 그림으로 판단을 해서는 절대로 안됩니다.
왜 이 그림을 그렸는지...사람을 그릴때 이성을 먼저 그렸다면 누구인지 왜 이성을 먼저 그렸는지 다리를 먼저 그렸다면 왜 그랬는지 관찰하며서 얘기 해보고 지켜 보는 것이 중요 합니다.
다음에는 집나무 사람 검사하는데 있어서 그림의 크기와 위치 필압과 선의 성질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