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소리

[아동심리 미술/미술치료 활동]아이들의 그림 해석 하는 방법~!? 본문

아동심리와 미술치료

[아동심리 미술/미술치료 활동]아이들의 그림 해석 하는 방법~!?

동글동글 달그대 2022. 3. 5. 14:59
반응형

 그림 해석하는 방법~!?
비 오는 날의 풍경을 그려 보도록 하고 아이들의 심리 상태를 알아보도록 합니다.

[미술치료 활동] 비 오는 날의 풍경 그리기 

미술치료 활동 내용

도화지 또는 A4용지와 , 색연필이 나크레용 등 그리기 도구를 준비해 줍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비 오는 날은 어떻게 지내는지 비 오는 날의 모습을 떠 올려 보도록 해주세요.

꼭 자신의 모습이 아니어도 좋고... 비 오는 날을 생각했을 때 어떤 모습이 떠오르는지 먼저 생각나는 모습을 자유롭게 그려보도록 해주세요.

비 오는 날 그림 속의 사람은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림 속의 아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다른 사람을 그렸다면 왜 그 사람을 그렸는지 등

그림 속의 사람에게 무슨 얘기를 해주고 싶은지...

이미지 출처:아이클릭아트

 

그림 그리기 활동은 집단으로 하더라도 그림에 대한 내용은 아동 개인마다 면담을 하면서 상담사 또는 부모가 직접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술치료 활동] 비 오는 날 그리기 해석하는 방법~!

빗속의 사람 그리기는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스트레스 정도와 그 대처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다 그리면 자유롭게 채색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이미지 출처:아이클릭아트

모든 그림 그리기 활동이 마무리가 되면 아이에게 이렇게 질문을 합니다.

  • 스스로가 그린 그림을 보면서 어떤 느낌이 드는지?
  • 그림 속의 사람은 나이가 어떻게 되는지?
  • 그리 속의 사람을 보면 누가 생각나는지...?
  • 그림 속의 사람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 이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등 을 물으면서 우리 아이들이 마음을 알아볼 수가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아이클릭아트

아이들의 수준에 맞추어 해석을 하고 무리한 질 물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비 오는 날 풍경을 그렸을 때 스트레스가 심한 아이들의 경우 보통은 소나기나 구름... 웅덩이, 천둥, 번개 등을 그렸는지를 확인해 보고 아이들의 스트레스나 불안에 대처할 능력이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지를 먼저 살펴보아야 합니다.

아이들이 스트레스나 불안에 대처할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그림 속의 있는 도구입니다.

우산의 크기, 우의, 장화 등은 스트레스를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보는 도구입니다.

이미지 출처:아이클릭아트

 

예를 들면 비 오는 날 웅덩이에 빠져 있다면 스트레스가 심한 것을 의미하고,

그런데도 불구하고 우위와 커다란 우산에 장화까지 완전하게 무장을 하고 있다면 대처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처럼 우리 아이들의 스트레스 정도를 미리미리 파악하고 세심하게 챙겨서 쑥쑥 자라나야 하는 아이들의 미래가 찬란하게 빛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