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소리

미술치료활동 하는데 있어 필요한 교사와 부모의 역할 본문

아동심리와 미술치료

미술치료활동 하는데 있어 필요한 교사와 부모의 역할

동글동글 달그대 2021. 5. 23. 19:38
반응형

미술치료 활동의 더 효율적이고 긍정적인 경험이 되게 하려고 상담자의 역할을 할 부모나 교사는 미술 실력이 뛰어나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아동과 함께 세 하는 미술치료 활동을 즐긴다는 기분으로 하면 됩니다.
다만, 약간의 미술적인 기능을 하러 가면 할 수 있다면 더욱 더 쉽게 치료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동 미술 치료 활동을 하는 교사나 부모는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것이 있는데 그것은 미술치료과정에서 진단을 위해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하고 있는 아이를 사랑하고 신뢰하는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해야 합니다.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아동의 내면의 세계를 이해하고 아동의 문제 행동까지 수용할 수 있는 평온하고 안정된 성품을 가진 긍정적인 사람이어야 미술치료사의 자격이 됩니다.
미술치료의 진행자로서 부모나 교사는 아동 발달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 하고 도와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담자 자신에 대해서도 때로는 융통성이 있는 너그러운 마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미술 치료 활동을 할 때 보통의 아이들이 바로 상담자인 부모나 교사에게 바로 속마음을 드러내는 경우는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첫 만남에서 우리 아이들은 상담자가 이야기를 믿고 해도 될만한 사람인지 본인을 지켜 줄 수 있는 사람인지 등을 살펴 보고 이야기를 시작하기 때문에 미술치료 교사나 부모는 전문적인 자격도 중요한지만 더욱 더 아동들의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고 존중하고 공감해 주무로서 아이들에게 신뢰를 심어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미지 출처. 아이클릭아트

미술 치료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상담자로서 부모와 교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우리 아이들이 마음 놓고 표현할 수 있도록 편안하고 안정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미술치료 활동은 평가하는것이 아니고 표현 활동임을 알고 내면의 세계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편안하고 자유로운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2. 또 우리 아이들이 미술 치료 활동을 할 때는 미술 매체의 선택과 표현주제까지 되도록 아동이 주도적 활동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매체의 선택과 표현주제는 아동의 내면세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아동의 자율적 선택에 맡기고 잘 관찰해야 합니다. 관찰하는 동안에 아이가 상담자인 부모나 선생님이 본인을 관찰하고 있다고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미지 출처. 아이클릭아트


3. 교사나 부모도 미술 치료 활동을 함께 참여 하는 것도 우리 아이들이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경험할 수 있기하고 자신의 표현 기회와 조건 없는 수용 기회를 체험 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아이들에게 표현 활동의 시간을 충분히 주고 미술 활동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시간의 제한이 필요할 경우 끝날 즈음 미리 그림 시간이 얼마 남았는지 알려 줍니다.

5. 문제 행동이 있거나 활동에 어려움을 느끼는 아이들은 교사가 옆에서 아동의 그림을 관찰하고 그림의 진단과 해석이 필요한 질문들을 의도적으로 던질 수 있으며 미술 표현 호활 동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6. 부모나 교사는 우리 아이들이 표현 활동을 마칠 수 있도록 기다려 주고 표현 활동이 끝나면 아동에게 반드시 그림에 대해 불나보고 메모해두되 섣부른 선입견은 배제해야 합니다.

7. 아동 미술치료 활동에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석하기보다 먼저 미술 치료 활동에 나타난 언어적 표현에서 아이들의 긍정적인 면을 찾아낼 수 있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이미지 출처. 아이클릭아트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