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소리

우리아이들의 학습장애 치료하는 법? 본문

아동심리와 미술치료

우리아이들의 학습장애 치료하는 법?

동글동글 달그대 2018. 2. 19. 16:18
반응형

안녕하세요~

 

명절 끝이라 너무 피건해서 하루가 어떻게 지나 갔는지 모르겠는데요~!

그래도 오전 시간은 다~지나가고

이제 퇴근할 시간이 가까워져서 너무 좋습니다

이웃님들은 오늘 하루 어떻게 보내고 계신가요?

자년의 교육문제에 대한 관심은 우리 나라 부모님들이라면

어느나라에도 뒤지지 않을텐데요

 

지나친 교육열로 인해  많은 사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특수 한 교육환경에 비추어 볼때 어쩔 수 없는 현실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다 보니 요즘 들어서 부모의 기대에 비해 자녀의 학습 성취도가 못미치는 정도가 지나쳐서 혹시 우리아이가 학습 장애는 아닐까 하고 걱정하는 부모님들이 점차 늘어 나고 있다고 합니다

 

보통 학습 장애라는 말은 이른바 공부를 모쇼하는것으로로 알고 있는

부모님들이 많은데요.

하지만 일반적으로 학습장애란 듣기,말하기, 읽기,쓰기 또는 수학능력의 습듣과 사용에서 주된 어령움을 보이는 이질적인 장애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철자와 음운을 빼 먹거나

또는 엉뚱한 철자를 집어넣어 틀리게 읽는 아이 ,글읽는 속도가 느린 아이 ,맞춤법을 자주 틀리는 아이 간단한 문장을 쓰는데도 뭄법을 틀리게 사용하는 아이 가

 학습 장애 경우가 높습니다

 

넓은 의미로 학습 장애는 정신지체나 뇌손상 혹은 정서적 문제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학습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를 뜻합니다

좁은의미로는 정상ㅅ\기능을 가진 아동이 학업적인 기술을 학습 하는데

실패한 경우를 뜻합니다

이말은 결국 학습 지진 학습부진 그리고 특정 학습 장애를 보이는

학습 장애의 구분이 필요하다는 얘기 입니다

 

즉 학습 지진이 주로 지능의 저하로 생기는 현상이고 , 학습 부진은 주로 정서적 도는 환경적인 문제로 부터 비롯된 현상 입니다

예를 들면 IQ 80의 아동이 ㄷ공부를 매우 못하는 것을 학습 지진의 경우에 해당하고 ,부모님이 매일 다투셔서 그결과 아이가 공부 하는데 집중이 잘 안 돼 수학을 잘 못하면 학습부진 입니다

ADHD 아동 처럼 지능지수는 높은데 산만하고 주의력이 덜어져 공부를 잘하지 못한다면 이것 역시 학습부진 입니다

따라서 아동이 받는 학습 장애와 학습지진은

선천적인 요인이 더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학습 장애는 보통 어떤현상으로 나타 날까요?

이 는 지능이 정상적이며 지각의장애가 없고 정상적인 수업을 받았는데도

불구하고 글자를 인지 하지 못하거나 ,느리게 또는 부정확하게 글을 일고 글을 제대로 이해 하지 못하는경우를 말합니다

난독등이나 실독증이라고 합니다

또는 스기 장애 입니다 그리고 산술장애 수학장애 등을 들 수가 있습니다

학습 장애의 원인으로는 뇌의 생리적 기능의 변화를 들 수 있습니다

뇌의 기능 자체는 정상적이지만 특정 뇌세포들의 기능이나 세포들간의 연결이 잘못 도이어 읽지 못하거나 쓰기등의 능력이 떨어지는 것 입니다

 

그렇다면 학습 장애는 어떻게 치료하는것이 좋을까요?

주의집중력에 어려움을 개선 시켜주고 ,

인지적인 충동성을 줄여 주는 약물 치료가 있습니다먼 여기에선 집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 들이 있습니다

특정한 과저의 반복적인 훈련이 필요 합니다

가령 읽기 장애 아동의 경우 적절한 교제를 선택하여 읽기를 반복해서 시킵니다 이과정은 점차 쉬운 과제로 붙터 어려운과제로 옮겨지는것이 좋습니다

 

쓰기 아동의 경우 요즘 아이들이 좋아하는 워드프로세서를 통해서 쓰기 훈련을 시키면 지루해 하지도 않고 아이가 잘 따라 합니다

특히 워드프로세서의 편집 깅능은 아이의 손상된시각운동의

협동능력을 보충해 줄 수 있습니다

책읽는 속도가 느린 아이의 경우 책 내용을 부모가 테이프에 미리 녹음해두고 들려주는것이 좋습니다

 

우리 소중한 아이들 부모의 작은 관심이 아이들의

학습부진도 이겨 내게 할 수 있습니다

남은 하루도 우리 소중한 대한민국의 자랑스런 아이들과 즐거운 시간시간 보내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Comments